# 동양 의학(침뜸)/황제내경 읽기

『황제내경-素問』<태음양명론편> - 비와 위의 차이

최정 / 모모 2011. 1. 18. 09:36

『황제내경-素問<태음양명론편太陰陽明論篇>

 

 

태음(太陰)과 양명(陽明)

1)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태음과 양명은 표와 리가 되고 비맥(脾脈)이고 위맥(胃脈)인데, 병이 생기는 것이 다른 것은 어째서인가요?”

 

기백이 이렇게 답하였다.

“족태음비경과 족양명위경은 순행하는 부위가 다릅니다. 이 때문에 춘하에는 양명이 실하고 태음이 허하며, 추동에는 양명이 역동하고 태음이 순동합니다. 혹 안쪽이 순동하거나 혹 바깥 쪽이 순동하여 순동하는 곳도 같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병도 이름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그 다른 형상에 대해서 듣고 싶소.”

 

기백이 이렇게 답하였다.

“양은 천기로서 인체의 밖을 다스리고, 음은 지기로서 안을 다스립니다. 그러므로 양도(陽道)는 실하고, 음도(陰道)는 허합니다. 외부에서 적풍허사가 침범하면 양이 사(邪)를 받게 되고,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고 기거함이 시(時)에 맞게 하지 못하면 음이 사를 받게 됩니다. 양이 사기를 받으면 육부에 들어가고, 음이 사기를 받으면 오장에 들어갑니다. 육부에 사기가 침입하면 몸에 열이 나고 제 때에 잠자리에 들지 못하여, 숨이 차게 되고, 오장에 사기가 침입하면 진만폐색(瞋滿閉塞)하고 아래로 손설(飱泄)이 되며, 오래되면 이질처럼 됩니다. 후(喉)는 천기를 주관하고 인(咽)은 지기를 주관합니다. 그러므로 양은 풍기를 받고 음은 습기를 받습니다. 음기는 발로부터 상행하여 머리에 도달했다가 다시 하행하여 팔을 따라 손가락 끝에 다다르고, 양기는 손에서부터 상행하여 머리에 이르렀다가 다시 하행하여 발까지 이릅니다. 그러므로 ‘양병은 끝까지 상행했다가 하행하고, 음병은 끝까지 하행했다가 상행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풍에 손상되면, 상부가 먼저 손상되고 습에 손상되면 하부가 먼저 손상됩니다.”

 

 

비(脾)와 위(胃)의 차이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비(脾)가 병이 들면 사지를 쓰지 못하는데 어째서인가요?”

 

기백이 이렇게 답하였다.

“사지는 모두 위(胃)로부터 기를 받지만, 위기가 직접 사지에 미치는 것은 아니고 반드시 비(脾)의 작용을 거쳐야 비로소 위(胃)로부터의 기를 받게 됩니다. 지금 비(脾)가 병이 나서 위(胃)를 대신하여 그 진액을 처리하지 못하면, 사지는 수곡의 기를 받지 못하여 기가 날로 쇠해지고, 맥도 물리하게 되어, 근골과 기육이 모두 움직일 기가 없기 때문에 사지를 쓰지 못하는 것입니다.”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비(脾)가 시(時)를 주관하지 못하는 것인 어째서인가요?”

 

기백이 이렇게 답하였다.

“비(脾)는 토(土)로서 중앙을 다스리고, 항상 사시에 걸쳐 다른 네 개의 장을 거느리는데, 각 계절 끝의 18일 동안을 다스릴 뿐 어느 시(時)를 단독으로 주관하지 않습니다. 비(脾)는 항상 위(胃), 즉 토(土)의 수곡정기가 잘 나타날 수 있게 합니다. 토(土)는 만물을 살아가게 하는데 천지를 본받으므로 위와 아래가 머리에서 발까지 이르므로 시를 주관할 수 없습니다.”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비(脾)와 위는 막(膜)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어져 있을 뿐인데도, 능히 위(胃)를 위하여 그 진액을 운행할 수 있음은 어째서인가요?”

 

기백이 이렇게 답하였다.

“족태음비경은 삼음인데, 그 경맥은 위(胃)를 관통하여 비(脾)에 이어지고 목구멍에 연결됩니다. 그러므로 태음경맥은 위를 위하여 삼음경에 수곡정기를 운행합니다. 족양명위경은 비(脾)의 표이고, 오장육부를 영양하는 바다이지만 양명 스스로 운행할 수 없으므로 비(脾)는 위(胃)를 위하여 삼양경에 기를 운행합니다. 오장육부는 각기 그 자신의 경에 의지하여 양명에서 기를 받으므로 비(脾)가 위(胃)를 대신하여 그 진액을 운행합니다. 사지가 능히 수곡의 기를 품부받지 못하면 나날이 더욱 쇠약해지고 맥도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근골과 기육이 그로써 자양하지 못하므로 사지를 쓰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