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에 대한 공포 - 구당 침뜸 이야기5 침에 대한 공포 침을 한 번도 맞아 보지 않은 사람은 청결과 안전에 대하여 크게 불안해한다. 최근 전 세계가 두려워하는 에이즈, B형 간염 같은 전염병 때문에 이 사람 저 사람에게 사용하는 침에 대하여 청결 문제를 말한다. 술자(術者)인 이 사람도 동감이다. 그래서 일회용을 사용하고, 오래 여러 번..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7
중풍의 예방과 뜸 - 구당 침뜸 이야기4 중풍의 예방과 뜸 현대 의학에서는 뇌졸중 . 중풍의 기초적 질환은 고혈압증이나 동맥경화증이라고 보고 있다. 이 동맥경화라고 하는 것은 동맥의 벽이 아도름 변성이라고 하는 변화를 일으켜서 동맥이 굳어지는 상태, 말하자면 동맥의 노화 현상이다. 즉 우리들이 일생애 중에 받은 다수의 화학적, ..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7
침뜸을 모르는 이야기 - 구당 침뜸 이야기3 침구사는 몸 전체를 중시한다. 침술원은 내과, 이비인후과, 정형 외과 등으로 분과(分科)하여 있지는 않다. 그것은 침구 치료가 병명에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신체 전체의 변조에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즉 전신의 불균형을 조정하는 것이 침구치료의 근본이고, 환자가 가지..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7
인체는 스스로 고치려는 힘이 있다. - 구당 침뜸 이야기2 침과 뜸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수 천 년동안 좋아하며 친히 써오던 침과 뜸인데 현대에 와서는 그 아름다웠던 가치를 바르게 알고 있다고 할 수 없다. 많은 역사적 경위에 의해서 침뜸이 현대 의료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것이 원인이다. 침과 뜸을 무엇인가 기묘한 것을 보는 것 같이 호기심의 눈으..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7
병은 예방이 더 중요하다. - 구당 침뜸 이야기1 자기 몸은 스스로 관리하여야 한다. 현대와 같이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많고 수명이 연장된 시대도 없었을 것이다. 오랫 동안 사람들은 "죽음에 이르는 병"을 겁내면서 살아왔다. 결핵, 폐렴, 위궤양 등 죽음의 그림자에 마음 편치 못하게 살아왔던 것이다. 서양 의학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중한 병은 ..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7
뜸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일본편 1. 뜸이 인체의 각 조직에 미치는 영향 가. 혈액에 미치는 영향 (1) 백혈구 시구에 의한 백혈구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오늘날까지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백혈구에 대하여서는 시구에 의하여 증가하나 그 시간적 추이는 연구자에 따라 보고가 다르다. 일본의 가시다 쥬지로(樫田十次郞)와 하라다 시게오(..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7
신묘년辛卯年 운기運氣와 질병(내 몸에 침뜸하기) 1) 신묘년(辛卯年) 운기(運氣) 신묘년(辛卯年)에서 辛은 병신수(丙辛水)로 음(-)수(水)로 운(運)을 대표하고, 卯는 묘유(卯酉) 양명조금(陽明燥金)으로 금(金)은 기(氣)를 대표한다. 운이 기를 생하느냐 극하느냐, 기가 운을 생하느냐 극하느냐의 문제도 봐야 한다. ① 주운과 객운 * 주운(主運) - 1년의 규칙.. # 동양 의학(침뜸)/침뜸 이야기 2011.03.03
개사관침법(開四關鍼法) 개사관침법(開四關鍼法) 개사관침법(開四關鍼法)은 특수한 침자요법 중 하나이다. 양계주(楊繼洲)의 침구대성(鍼灸大成) 제2권(卷)에 수록된 10개의 침구부(鍼灸賦) 중 표유부(標幽賦)에 수록된 침자요법(針刺療法)이다. 개사관 침법(開四關鍼法)은 단지 합곡혈(合谷穴)과 태충혈(太衝穴)에 침자하여 여.. # 동양 의학(침뜸)/경락 경혈 공부 2011.03.02
기묘한 혈위(穴位) 기묘한 혈위(穴位) 혈위(穴位)는12정경(正經)의 309혈(穴)과 임맥과 독맥의 52혈(穴)과 기타 400여 개 이상의 신혈(新穴)과 잡혈(雜穴)이 있는데 신혈과 잡혈은 고정적인 혈위를 갖고 있으며 명칭도 있으나 12정경의 직접 구속을 받지 않고 표리관계도 없다. 혈위 중 중요한 혈위는 정혈(井穴), 형혈(滎穴), .. # 동양 의학(침뜸)/경락 경혈 공부 2011.03.02
화타협척혈(華佗夾脊穴) 화타협척혈(華佗夾脊穴) 동한(東漢 : 서기 25 년 - 서기 189 년) 말기의 양대 명의는 화타와 상한론의 저자인 장중경을 꼽는다. 역사적으로 볼 때 협척혈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화타이다. 서기 304 년에 편찬된 갈홍(葛洪)의 저서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 화타가 콜레라(호열자)병 환자를 협척혈을 사용하.. # 동양 의학(침뜸)/경락 경혈 공부 201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