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 의학(침뜸) 148

『황제내경-靈樞』<대혹론大惑論> - 눈

『황제내경-靈樞』&lt;대혹론大惑論&gt; 눈 오장육부의 정기는 모두 위로 올라가 눈에 모여 사물을 뚜렷하게 볼 수 있게 하는 눈의 정(精)이 됩니다. 눈의 정이 눈구멍에 모여 눈동자가 되고, 골의 정은 동공이 되며, 근의 정은 검은자위가 되고, 혈의 정은 혈락이 되며, 기의 정은 흰자위가 되고, 기육의 ..

『황제내경-靈樞』<맥도脈度> - 칠규

『황제내경-靈樞』&lt;맥도脈度&gt; 칠규 오장의 정기는 언제나 안에 있으며 위로 칠규(일곱 개의 구멍)와 통합니다. 폐기는 코로 통하는데 폐기가 조화로우면 코는 냄새를 맡을 수 있고, 심기는 혀로 통하는데 심기가 조화로우면 혀는 오미를 알 수 있으며, 간기는 눈으로 통하는데 간이 조화로우면 눈..

『황제내경-素問』<경맥별론편> - 음식의 전수와 살포

『황제내경-素問』&lt;경맥별론편經脈別論篇&gt; 음식의 전수와 살포 식기(食氣)가 위에 들어가면 그 정미 물질은 간에 흩어져서 그 기(氣)로 근을 자양합니다. 식기가 위에 들어가면 농후한 정미 물질은 심으로 들어가서, 그 정(精)으로 혈맥을 자양합니다. 맥기는 경맥을 따라 흐르고, 경기는 폐로 귀..

『황제내경-靈樞』<본수本輸> - 오장과 육부의 관계

『황제내경-靈樞』&lt;본수本輸&gt; 오장과 육부의 관계 폐는 대장과 서로 배합되는데 대장은 전도의 부(腑)이고, 심은 소장과 서로 배합되는데 소장은 수성(受盛)의 부이며, 간은 담과 서로 배합되는데 담은 중정(中精)의 부입니다. 비는 위와 서로 배합되는데 위는 오곡(吳穀)의 부이고, 신은 방광과 서..

『황제내경-靈樞』<해론海論> - 사해(四海)

『황제내경-靈樞』&lt;해론海論&gt; 사해(四海)와 수혈(輸血) 황제가 기백에게 이렇게 물었다. “내가 선생에게 자법에 대해 들었는데, 선생께서 말한 바로는 영, 위, 혈, 기를 벗어나지 않았소. 무릇 십이경맥은 안으로는 오장육부에 속하고 밖으로는 사지관절에 연결되는데, 선생께서는 이것을 사해(四..

『황제내경-素問』<오장별론편> - 기항지부, 전화지부

『황제내경-素問』&lt;오장별론편五臟別論篇&gt; 기항지부, 전화지부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내가 듣기로 의사들 중에는 뇌수(腦髓)를 장(臟)이라 하거나, 장(腸)과 위(胃)를 장(臟)이라 하거나, 또는 이들을 부(腑)라고 하는 일이 있다고 들었소. 가령 그들의 견해는 서로 상반되는데 모두가 자신들이 ..

『황제내경-素問』<육절장상론> - 장상(藏象)

『황제내경-素問』&lt;육절장상론六節藏象論篇&gt;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장상(藏象)은 어떠한가요?” 기백이 이렇게 답하였다. “심은 생의 근본이고, 정신활동을 주재하는 신이 거처하는 곳이며, 그것의 영화는 얼굴에 나타나고, 그것의 충실함은 혈맥에 나타나며, 양중의 태양으로서 하기(夏氣)..

『황제내경-素問』<음양이합론편>

『황제내경-素問』&lt;음양이합론편陰陽離合論篇&gt; 황제가 이렇게 물었다. “내가 듣건대 하늘은 양이고 땅은 음이며, 해는 양이고 달은 음이며, 크고 작은 달의 360일이 모여 한 해를 이루는데 사람도 역시 이에 응한다고 하였소. 그런데 삼음상양이 음양에 응하지 않는 것은 그 까닭이 무엇인가요?”..

강신주의《회남자 & 황제내경》, 김희정의《몸·국가·우주 하나를 꿈꾸다》

동양의학이 기틀이 된 고대의 동양 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성립되었는가를 공부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강신주의《회남자 & 황제내경》은 무엇보다 읽기에 쉽다. 구성도 참신하고 내용도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다. 이 책은 서양의 '기계론적 과학정신'의 한계를 지적하고 동양의 '유기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