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나무 식당 감나무 식당 최 정 허기진 내게 까치밥 한 그릇 공양해줄까 두드린 감나무 식당 낮잠에서 막 깨어난 할머니가 끓여 낸 김치 전골 경상도 음식 짜기로 유명하다지만 깜박 잊고 까치밥 뚝딱 비웠을 때 여기가 바로 불국사佛國寺로구나 난로 가에 졸고 있는 누렁이 눈 한번 껌벅일 때마다 백..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해탈문 해탈문解脫門 최 정 해탈할 수 있을까 門 들어서는 순간, 산 아래 면벽 중인 도갑사道岬寺 물 한 모금 마시고 산사의 고요 밟을 때마다 주저앉은, 세속에 묻어 둔 이력 출렁이네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 門 나서는 순간, 늙은 중 하얀 입김 피어오르는 범종소리 산을 깨우네 깜빡 졸던 야윈 ..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비결 비결 최 정 동학군 비결 나왔다는 마애불 찾아 나선 도솔암 입구 돌비석, `등산로 없음` 옆길로 올라보니 낙조대만 솟아있네 가파른 불경소리 비결은 없었는지 몰라 그저 퍼런 죽창이었는지 몰라 동학군이 비결 빼가려고 중들 결박했던 선운사 앞마당에 붉은 감들만 주렁주렁 저렇게 탱..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집중호우 집중호우 최 정 게보린 40알과 소주 한 병으로 세상 끝장내려는 ‘ㅅ'과 소주를 마신다 연거푸 잔 비워보지만 내 희망이란 것도 사실 얄팍하여 금세 쏟아져 내리는구나 게보린 40알로, 두통 사라지듯 스물네 살 그녀에게 모든 고통 끝날 수 있다면야 우리는 술집에 앉아 잠시 비를 피하고 ..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땅끝에서 땅끝에서 최 정 그대에게 가는 길은 처음부터 끊어져 있었다 밀물은 차오르며 지친 발목 한 걸음씩 밀어내고 땅끝에 홀로 선 토말비土末碑* 길은 없다, 꿈쩍 않지만 이 끝에서나마 그리움의 덩어리로 솟아오른 섬이 되겠다 바람이라도 불어오면 그대인 줄 알겠다 * 토말비 - 전남 해남군 ..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을왕리 을왕리 최 정 새벽 썰물 따라 걸으면 여린 달 아래 거꾸러진 닻들이 발목잡고 놓아주지 않는 을왕리 해수욕장 더 이상 올려지지 않아 켜켜이 녹슬고 있는 닻들의 무덤 그 끝에 서해가 출렁인다 돌 아 서 는 등 뒤, 환하게 불 켜는 고깃배 한 척 닻이 오르고 서해가 오르고 내 녹슨 꿈 덩달..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부여에서 부여에서 최 정 어둠이 강을 밀어간다 금강 줄기 따라가다 고란사皐蘭寺에서 보살님이 주시는 인절미 고마워 향을 피워 올린다 낙화암에 올라서서 내 삼천 궁녀는 아니더라도 저 푸른 강물 속에 욕망의 알갱이들 내던질 수 있을까 했는데, 고란사 마당에 앉아 보니 어둠이 강을 밀어간다..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눈송이, 이놈 눈송이, 이놈 최 정 쏟아진다, 겨울보다 감기가 먼저 오고 설사하듯 눈이 쏟아진다 미처 벗지 못한 허물은 불편하다 방바닥에 달라붙어 몸은 딱딱하게 굳어가고 눈송이들 창에 와 부딪혀 녹아내린다 저 눈송이처럼 살비듬 한 꺼풀씩 벗듯 방바닥만한 그리움 맑게 녹아 비워진다면 다행히.. # 창작시 - 최정/용현동 시절 시(1997-99) 2010.12.05
대학시절 시들을 올리며 이제 와서 새삼스럽게 대학 시절에 썼던 거칠고 성긴 시 몇 편을 공개하는 것은 더 이상 시가 특별한 게 아니라는 생각에서입니다. 이미 이때 수백 편의 시를 썼던 선배들과 동기들이 있었고 또 지난 시들은 찢어 없애고 새로운 시를 써야 한다고 폐기하는 것을 보기도 했습니다. 저도 도저히 내보일 .. # 여러 짧은 글/그냥, 둘곳없는 이야기들 2010.12.04
메뚜기 메뚜기 최 정 들기름에 달달 볶으면 방아깨비처럼 뛰어놀던 어린 시절 먹을거리 되었지 마냥 신났던지 눈꼽 비비며 지게 꽁무니 따라나서면 아버지는 이슬 마르기 전에 많이 잡으라고 한 움큼 씩 벼를 베어 앞에다 밀어 주었지 토실한 이삭 사이 이슬 덮고 잠들어 있던 메뚜기 농약 때문.. # 창작시 - 최정/대학 시절 시(1992-1996) 2010.12.04